본문 바로가기

[경제 상식] 금융 시장의 구분

거북이경주 2023. 2. 27.
반응형

금융 시장의 구분

 

금융 시장은 직접과 간접 방식이 따라 달라 지기도하지만 거래상품의 만기, 자금 조달의 형태, 유통 과정 등에 따라 구분하기도한다.

 

5만원 지폐를 세는 모습

 

본원증권의 차이

 

직접 금융 시장

 

거래 상품 또는 종류는 주식과 책권이 있다.

 

간접 금융 시장

 

은행 계좌에 예치, 수표

 

만기에 따른 구분

 

자금 시장(money market)

 

자금 시장은 만기가 1년 미만의 단기상품을 거래하는 시장이다. 콜, 환매조건부채권, 양도성예금증서, 기업어음 등을 거래한다. 1년이라는 짧은 기간이기 때문에 거의 현금처럼 거래된다. 유동성이 매우 높고 위험도는 낮기 때문에 거래량이 많은 편이다.

 

자본 시장(capital market)

 

1년 이상의 장기증권이 거래되는 곳이다. 주식이나 채권 등이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주식은 유동성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옳지 않다. 그건 거래를 그렇게 하기 때문이자 주식은 원칙적으로 회사가 처분하지 않는 이상 영원하다. 

 

유통 과정에 따른 구분

 

유통 과정에 따라 발행시장과 유통 시장으로 분류한다.

 

발행 시장(primary market)

  • 발행시장(Primary Market)이란 자금을 필요로 하는 기업, 공공단체 등이 발행주체가 되어 인수기관을 통해 자금의 공급자인 투자자에게 신규로 발행되는 증권의 취득을 권유(모집)하거나, 이미 발행된 증권의 매수(도)의 청약을 권유(매출)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시장을 말한다.

 

발행 시장은 금융상품이 최초로 발행되어 판매되는 시장을 말합니다. 금융상품을 최초로 발행하는 곳은 기업, 공공기관 등이 있다.

 

유통 시장(secondary market)

 

유통 시장은 이미 발행된 금융상품을 거래하는 시장이다. 예를 들면 주식 시장과 같은 곳이다. 주식은 만기가 차기 전까는 보유해야 한다. 하지만 당장 현금이 필요할 경우 주식을 판다. 이러한 시장을 유통 시장이라 한다. 

 

그 외 시장

 

외환시장 : 외환을 다루는 시장이다.

 

파생금융시장 : 선물, 옵션, 스완 등을 다루는 곳이다. 

 

반응형

댓글